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늘은 한민족의 대식 문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로부터 우리는 "밥심"으로 살아가는 민족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는데요, 옛날에는 밥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먹었던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외국인들마저 놀랄 만큼 대단한 식사량, 과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조선인의 대식, 기록으로 만나다역사 기록 속 한민족의 식사량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삼국유사》에는 무열왕이 하루에 쌀 3말과 꿩 9마리를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군 이여송은 조선 백성들이 먹는 고봉밥을 보고 “이렇게 많이 먹으니 국가 운영은 어떻게 하느냐”고 묻기도 했다고 하죠. 물론 이 모든 기록이 완전히 사실은 아닐 수 있습니다. 대식 기록은 종종 재력과 능력을 과시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시대에는 오늘날처럼 휴일이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선시대도 현재 우리의 일요일처럼 휴무일이 있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본문을 확인해 주세요. 조선시대에 휴무일이 있었을까? 오늘날에는 주 7일로 정하고 하루는 휴무일로 쉬는 근로체계를 가지고 있는데요. 조선시대에는 이런 주 7일 근로개념이 아니었기 때문에 지금의 일요일처럼 모두 한꺼번에 다 쉬는 휴무일이 없었습니다. 조선시대 휴무일 체계 조선시대에는 현재 우리의 근로체계처럼 모두가 다 함께 쉬는 휴무일 개념이 아니라 각 기관의 내규에 따라 정해지는 비번의 개념이 있었습니다. 각 기관마다 정해진 규칙에 따라 휴식을 취하거나 사적인 용무를 볼 시간을 주었는데요. 비번일의 기간은 10~15일 단위였다고 합니다. 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류는 언제부터 삼시 세 끼를 챙겨 먹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하루 3끼를 먹게 된 이유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본문을 참조해 주세요. 점심식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흥미로운 것은 원래 인류는 식량이 충분하지 않았던 시절에 점심식사를 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나 14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과 조선은 점심식사라는 개념이 생기기 시작했고, 유럽은 16세기, 그리고 일본은 무려 20세기에 점심식사라는 개념이 생겼습니다. 점심이 없었던 시절에는 무엇을 먹었을까? 점심식사라는 끼니개념이 없던 시절에는 주로 농경사회였으므로 농부들이 일하다가 중간에 먹는 새참의 개념이었습니다. 이전에는 식사라기보다는 일하다가 중간에 먹는 간식의 개념이었던 것이죠. 옛날 우리나라의 식사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선 G7 정상회의 뜻과 역할 및 역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주제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본문글을 참조하시면 빠르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G7 정상회의란? G7정상회의를 알려면 먼저 G7부터 알아야 합니다. G7은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이렇게 7개의 선진국을 Group of 7이라 하여 줄임말로 G7이라 칭합니다. 이들 국가들의 대통령이나 총리와 같은 정상들이 1년에 한번씩 다 같이 회동하여 세계경제의 전망과 예측, 각국 간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논의를 하는 것을 G7 정상회의라고 부릅니다. G7 정상회의의 시작은? G7정상회담이 시작된 것은 1975년으로 거슬러올라갑니다. 당시 석유위기가 터지고 이후, 세계경제에 ..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실제 인성은 어땠을지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이성계의 인성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살던 나라를 망하게 하고 새나라를 건립하여 왕이 된다는 것은 세상을 뒤집은 것과 같은 엄청난 일이었습니다.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이성계란 사람의 인성은 과연 어땠을까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인성을 짐작하기 위해선 그의 어린 시절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어린 시절 이성계는 일찍이 친어머니를 여의고 새어머니인 정빈김 씨와 이복형제들과 함께 자랐습니다. 태조실록을 참조하면 그는 정빈김 씨가 친어머니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매우 공손하며 항상 무릎 꿇은 자세로 정빈 김 씨를 대했다고 나와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이성계의 새어머니인 정빈 김 씨는..
축구의 인기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죠. 아마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가 아닐까 싶습니다. 축구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봅시다. 우리가 아는 방식의 현대적 축구는 영국에서 19세기에 출발했습니다. FA의 설립 축구경기는 처음에는 경기규칙도 그렇고 공크기도 표준으로 정해진 것이 없었기 때문에 지역마다 매우 규칙들이 달랐습니다. 하지만 현대 축구의 토대가 된 규칙들이 서서히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하여 1863년에는 영국에서 축구협회가 공식적으로 설립이 되었죠. 이 영국 축구협회를 FA라고 부르는데요. FA는 최초로 축구의 표준화된 규칙들을 제정합니다. 최초의 공식 축구경기 영국에서부터 축구는 굉장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1857년에는 셰필드 축구클럽이 최초의 축구클럽으로 창설되었죠. 186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