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축구의 인기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죠. 아마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가 아닐까 싶습니다. 축구의 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봅시다. 우리가 아는 방식의 현대적 축구는 영국에서 19세기에 출발했습니다. FA의 설립 축구경기는 처음에는 경기규칙도 그렇고 공크기도 표준으로 정해진 것이 없었기 때문에 지역마다 매우 규칙들이 달랐습니다. 하지만 현대 축구의 토대가 된 규칙들이 서서히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하여 1863년에는 영국에서 축구협회가 공식적으로 설립이 되었죠. 이 영국 축구협회를 FA라고 부르는데요. FA는 최초로 축구의 표준화된 규칙들을 제정합니다. 최초의 공식 축구경기 영국에서부터 축구는 굉장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1857년에는 셰필드 축구클럽이 최초의 축구클럽으로 창설되었죠. 1863년..
1. 출생 이토 히로부미는 1841년에 부산 바로 건너편에 있는 야마구치 현의 가난한 농민인 하야시 주조의 장남으로 태어났습니다. 그가 태어난 이후 아버지가 이토 집안의 양자로 가게 되는데요. 양자가 되어서 무사 신분이 되었기 때문에 자신의 성도 하야시에서 이토로 바꾸게 됩니다. 처음에는 리스케, 슈스케라는 이름으로 불렷으며 야마구치 현에 있는 쇼카 손 주쿠에 들어가서 요시다 쇼잉의 제자가 됩니다. 2. 영국을 유학하고 충격에 빠지다 이토 히로부미는 다카스기 신사쿠등과 함께 존왕양이 운동 즉, 쇄국정책과 중앙집권화를 주장한 운동으로 천황을 공경하고 외국인을 쫓아내자고 주장하는데요. 1863년에는 번의 명령으로 이노우에 카오루 등과 함께 영국에 유학을 가게 됩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산업혁명 이후 계속 발전..
요즘 김혜수가 오랜만에 사극에 출연한다 하여 화제가 된 드라마 '슈룹'을 보시면 세자가 신하들 앞에서 멋지게 사서를 암기하고 신하가 성적을 평가하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그렇게 세자가 신하들에게 교육을 받는 기관이 바로 세자시강원이라는 곳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선시대 세자시강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1. 세자교육 관청은 신라시대부터세자시강원이란 조선시대에 왕세자들의 교육을 책임지던 관청이었는데요. 세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관청은 신라시대 때부터 생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신라 경덕왕 때 동궁아 관을 두어 세자의 교육을 담당하게 했다고 합니다. 그러한 전통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의 세자시강원으로 이어진 것인데요. 세자시강원은 태조 1년인 1392년에 세자 관속이라는 이름으로 세자를 위한 강학..
결론부터 말하자면 조선시대에도 위조화폐는 당연히 있었고 문제가 매우 심각했다고 합니다. 아주 먼 옛날에는 법정화폐 대신에 소금이나 쌀, 가축 등을 이용하여 물물교환을 해왔습니다. 그러다가 동전이 만들어지고 활발하게 유통이 되면서 위조화폐 문제는 꾸준히 발생했는데요. 17세기 말에 이르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됩니다. 당시 화폐를 위조하는 행위가 얼마나 심각했냐면 구리로 동전을 위조하기 위해, 놋그릇 절도가 횡행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당시 위폐를 보면, 함석을 사용하지 않고 구리와 납만 섞어 만들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주조된 동전보다 가벼웠는데, 일반 백성이 이를 알아보기 쉽지 않았습니다. 이에 심각함을 느낀 조선 숙종은 화폐를 위조하는 행위를 엄격하게 통제하기 시작하는데요. 동전을 불법 주조한 장인..
외국인들도 놀란 한민족의 대식 습관 현대 사람들은 다이어트 열풍이 불면서 밥을 조금씩 먹는 식습관이 익숙해졌지만, 우리나라는 할아버지 세대만 하더라도 밥을 고봉밥으로 많이 먹던 나라였습니다. 당대 기록을 살펴봐도 조선시대 식문화에 대해 외국인들 기록에서는 '조선인은 식사량이 많다'는 기록이 자주 등장하는데요. 임진난 당시 이여송은 조선인들의 고봉밥을 보고 놀라서 "백성들이 이렇게 많이 먹으니 국가 운영을 어떻게 하는가"라고 물었으며, 《삼국유사》의 기록을 살펴봐도 무열왕이 하루에 먹는 양은 하루에 쌀 3말과 꿩 9마리를 잡수셨다고 나와있으니 실로 어마어마한 식사량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옛날에는 왜 그렇게 밥을 많이 먹었을까요? 대식 기록은 재력과시의 한 표현 무열왕이 하루에 쌀 3말과 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