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6세기 초 이란에는 시아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사파비 왕조가 세워져 페르시아어를 바탕으로 이란의 전통문화 회복에 기여하였다. 사파비 왕조는 아바스 왕 때 전성기를 맞아, 오스만 제국의 여러 제도를 도입하여 국가체제가 정비되고, 문화와 경제분야에서도 수준 높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당시 수도 이스파한은 훌륭한 건축물과 우아한 장식물로 아름답게 꾸며져 오늘날까지 그 모습이 남아 있다. 사파비 왕조가 주변 민족들의 침입으로 약화된 후, 이란 지방은 18세기 말 카자르 왕조에 의해 재통 일되었다. 1. 카자르 왕조의 근대화 카자르 왕조는 한때 아프가니스탄까지 그 영역을 넓혀 번영하였으나, 19세기 말부터는 열강의 간섭과 침략이 가속화되었다. 따라서 이란의 근대화 과정도 유럽 열강에 대항하는 항쟁의 형태로 나..
1. 오스만 제국의 쇠퇴 16세기 중엽에 절정에 달한 오스만 제국은 17세기에 들어 내외적인 요인이 복합되어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우선 내적인 요인으로는 술탄을 중심으로 한 중앙권력의 약화와 귀족 및 지방 영주들의 발호, 예니체리 군인들의 반란, 피정복지에서의 과중한 세금, 관료와 군부의 부패 등으로 인해, 지리상의 발견으로 유럽에서 일어나고 잇는 새로운 변화와 기술적 혁신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외적인 요인으로는 이란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사파비 왕조의 위협 증대와 1571년 스페인과의 레판토 해전에서의 패배, 1683년의 오스만의 비엔나 공략 실패를 들 수 있다. 2. 대외 정복과 국력 쇠진 사파비 왕조의 성장은 유럽전선에 대한 오스만의 관심을 분산시켜 국력의 약화를 초래하..
이번 포스팅은 서아시아 역사 시리즈 5편, 투르크 이슬람 시대의 개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셀주크 투르크 왕조의 통일 분열되었던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이슬람 세계는 11세기 투그릴 베이가 이끄는 셀주크 투르크 왕조에 의해 재통일되었다. 그들은 1055년 바그다드에 입성하여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로부터 술탄의 칭호를 받았다. 셀주크 투르크는 3대 술탄 말리크 샤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였는데, 시리아, 팔레스타인, 소아시아를 포함하여 동쪽은 천산산맥에서 서쪽은 지중해에 이르는 대제국을 형성하였다. 특히 명재상 니잠 알 물크의 여러 뛰어난 개혁정책은 셀주크 왕조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십자군 전쟁 한편, 1071년 셀주크가 비잔틴군을 격퇴하고 아나톨리아와 소아시아 지역에 진출함으로써 이 지역이 ..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아시아 시리즈 2편, 이슬람교의 성립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이슬람교의 성립 7세기 초 아라비아반도에는 베두인이라고 불리는 사막의 유목민과 쿠레이쉬 부족을 중심으로 한 오아시스 정착민들이 부족단위의 공동생활을 영위하면서 다신교와 협의체 의사결정방식을 토대로 한 독특한 사회를 이루고 있었다. 특히 메카는 오아시스 대상 교역의 중심도시로 또 각 부족의 우상을 모슨 순례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더욱 비잔틴제국과 페르시아의 전쟁으로 지중해와 유프라테스 걸프 해를 잇는 전통적인 실크로드가 위축되자 홍해 연안의 대상로를 통한 동서교역이 활발해지면서 메카와 메디나 같은 오아시스 도시가 급격히 번창하게 되었다. 부의 급증으로 인한 빈부의 갈등, 우상숭배의 만연, 도덕과 윤리의 타락이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