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본명 리오넬 안드레스 메시 쿠치티니 Lionel Andrés Messi Cuccittini 출생 1987년 6월 24일 (35세) 아르헨티나 공화국 산타페 주 로사리오 키와 체중 키 170cm / 체중 72kg 소속 클럽 FC 바르셀로나 C[4] (2003~2004) FC 바르셀로나 B (2004~2005) FC 바르셀로나 (2004~2021) 파리 생제르맹 FC (2021~ ) 리오넬 메시는 축구 역사상 최다 공격 포인트 기록자이며, 발롱도르, FIFA 올해의 선수, 유러피언 골든슈 최다 수상자이자 FC 바르셀로나,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라리가 역대 최다 득점자이다. 월드컵 우승, 월드컵 골든볼 수상, 대륙컵 우승, 대륙컵 MVP 수상, UCL 우승, 리그 우승, 리그 MVP 수상, 올림픽 축구..
소아 사이코패스 진단의 경우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집니다. 섣부르게 접근하지 않으며 성인에 되어가면서 나아지는 특성들도 있기 때문에 사실은 아이들에게 사이코패스라고 확실한 진단을 내리지 않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있기 마련입니다. 이는 후천적인 요인도 있지만 선천적인 요인도 있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아 사이코패스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개인적 특성 소아 사이코패스 진단을 받으려면 다음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모두 보여야 합니다. 또래집단 사이에서 권력과 힘을 추구하고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과 쾌락을 얻는 것에 자존감을 얻는다. 매우 극단적인 자기 중심성을 가지며 타인을 마치 물건이나 도구처럼 여긴다. 법이나 윤리기준에 흔들리는 양심이 느껴..
우리는 외국에 나가기 전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는데요. 바로 그 나라에서 하면 안되는 것들입니다. 이걸 공부하고 가지 않으면 외국에서 사람들에게 실수를 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죠. 심지어는 감옥에도 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에서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경찰이 차단속을 할 때 차에서 먼저 내리지 마세요 만약 여러분이 미국에서 운전을 하다가 속도위반을 했다고 생각해봅시다. 경찰차가 사이렌을 울리면서 뒤에서 따라오게 되면 차를 갓길에 세우게 될 텐데요. 이때 절대 차에서 먼저 내리지 마세요. 차를 갓길에 대고 경찰보다 차에서 먼저 내리는 것은 한국에서는 종종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경찰보다 먼저 차에서 내리는 행위는 매..
그 나라에 여행 가려면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알고 가는 것이 상식이겠죠?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에서는 괜찮은 행동인데, 다른 나라에서는 크게 실례가 될 수 있거나 불쾌할 수 있는 행동들에 대해 체크하고 나가야 얼굴 붉히는 일이 없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바꿀 수가 없는 것들도 있을 수 있는데, 적어도 왜 불쾌한지 알고 가시면 그들이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이해할 수 있으니까 알고가시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처럼 일본에서 하면 실례가 되거나 불편하게 볼 수 있는 것들과 우리와 다른 문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하철에서 대화나 전화는 최대한 작게 해주세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대화를 하거나 전화통화는 작게 하는 것이 예절입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지하철에서 대화나 통화를..
뇌출혈환자의 증가추이가 심상치 않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뇌내 혈관이 터지면서 피가 고이는 질환인 뇌내출혈 환자가 한해 5만 7천 명으로 4년 만에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환자 10명 중 7명은 60세이상 고령층으로 나타났습니다. 60대가 28.4%로 가장 많았으며, 70대는 23.3%, 50대는 18.8%로 뒤를 이었습니다. 뇌내출혈 남성환자는 60대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70대에 뇌내출혈을 겪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뇌내출혈이란 뇌내출혈은 뇌출혈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뇌졸중의 한 종류로서 뇌 조직 혈관이 터지면서 뇌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질환의 주요원인은 거의 환자의 75%가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소시오패스는 어떤 감정과 마음을 가졌기에 나쁜 행동을 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못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시오패스의 생각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들은 기계는 아니지만 천성적으로 감정을 공감하지 못한다 소시오패스가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기계적인 존재는 아닙니다. 감정을 느끼는 인간인 것은 맞지만, 그 감정에 대해 일반인과 받아들이는 구조가 다릅니다. 여러 가지 감정 중에서 그들은 일반사람과는 다르게 분간하지 못하거나 이해 못 하는 감정들이 존재합니다. 또한 그들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인과관계와 논리가 일관적이지 않으므로 그들이 느끼는 불쾌감과 기쁨 어느 것도 명확한 인과관계를 추론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은 더욱 힘들어하는 것입니다. 소시오패스의 뇌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