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영제국의 행정구조 영국은 영토를 넓힌 후 효율적인 통치와 착취를 위해 행정조직을 대폭 개선하였다. 그들은 행정 문관, 군대, 경찰, 법원 등으로 구성된 영국식 행정체계를 도입하였다. 웰리슬리 총독은 캘커타에 포트 윌리암 대학을 건설하여 행정 문관을 전문적으로 육성하였고, 1853년 이후에는 영국 정부가 주관하는 시험을 통해 문관을 선발하였는데, 단순 하위직을 제외하고는 전적으로 영국인들이 독점하였다. 군대는 인도세력을 정벌하고 인도 내에서 경쟁 외국군으로부터 자국 세력을보호하며 내부반란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군의 대부분은 인도인 용병이었다. 반면에 장교 이상은 철저히 영국인으로만 구성되었다. 경찰의 구성도 군과 동일하였다. 식민지 인도의 효율적 통치를 위해 영국 통치자들은 인도에 민사와 형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대인도문명 2편. 영국의 잔혹한 인도식민정책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영국은 어떤 식으로 인도를 식민통치했을까? 초기의 동인도회사는 단순한 무역회사의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벵골, 비하르, 오릿사 지방의 징세권을 확보한 1765~1772년까지의 시기에 영국은 행정구조를 개편하였다. 새 행정구조는 책임은 인도인에게 주고 권력은 그들이 갖는 이른바 이중 체제였다. 영국 의회에서 1773년의 규제법이 만들어지면서 인도의 통치는 영국 정부가 관리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초대 총독으로 워런 헤이스팅스를 임명하였다. 1784년에는 피트의 인도법에 의해 영국 정부는 통치의 전권을 장악하게 되고 동인도회사의 권력은 점차 약화되어 갔다. 급기야 1813년에는 동인도회사의 인도 독점 ..
소개 귀멸의 칼날 : 무한 열차 편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는 굉장합니다. 무려 애니메이션 역사상 최고의 작품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네놈의 공격패턴은 강약약 강강강약 강 중 약!"이라는 명대사를 만들었던 한국의 김성모작가도 이 무한 열차 편을 보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수상내역 제 45회 호치 영화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제38회 골든 글로스 상 최우수 금상 제44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애니메이션 작품상, 최우수 음악상, 화제 작품상 제26회 AMD 어워드 대상, 총무 대신상 작화 직원들을 믹서기에 갈아서 애니를 만든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세밀하고 정밀한 작화로 유명한 ufotable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작화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사람들 ..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대 인도 문명에 대한 시리즈 1편으로 영국의 인도침략에 대한 역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영국과 인도의 무역 영국은 동인도회사가 1717년에 공무역에 대한 관세 면제권을 획득하면서 인도와의 무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관세 면제특권은 공무역에만 주어졌지만 당시 벵골 정부 관리들의 타락으로 사무역에도 공공연히 면세 무역이 행해졌다. 이로 인해 벵골정부는 조세수입에 큰 타격을 받았다. 영국은 동인도회사를 앞세워 1757년에 벵골과 플라시에서 싸워 승리하였다. 플라시 전투는 소규모였지만 대단히 큰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투 이후 동인도회사는 궁정 모반을 책동하여 나왔을 살해하고 새 나왔을 앉혔다. 꼭두각시 나왑은 동인도회사에게 벵골로부터 비하르와 오릿사 지방까지 확대된 관세 면제특권을 부여..
1. 애플 페이란? 애플 페이는 2014년에 처음 공개된 간편 결제 서비스인데요. 2021년 기준으로 63개국이 애플 페이를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애플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국가가 100개국이 넘은데, 애플 페이가 도입된 나라가 63개국밖에 안된다는 것은 뭔가 이유가 있을 텐데요. 특히나 대한민국은 애플 충성 고객이 정말 많은 나라인데 애플 페이가 여태 못들어온 이유가 무엇일까요? 2. 애플페이가 국내에 도입되지 못한 이유 1) 애플 페이의 결제방식 애플 페이는 NFC 방식으로 사용하는데요. NFC 기술은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10cm 이내 거리에서 무선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기술입니다. 그런데 NFC 방식인 애플 페이로 결제하기 위해서는 결제하는 곳마다 NFC 단말기가 ..
1. 8~12세기의 인도 사회 굽타가 몰락한 후 봉건 제후들의 패권 다툼 속에서 북부 인도는 7세기 초 카나우즈의 하르샤 바르다나에 의해 통일되었다. 그 후 8세기를 전후하여 인도는 동부의 팔라, 서부의 프라티 하라, 데칸을 중심으로 한 라슈트라쿠타의 세 나라로 갈렸다. 이 때는 서아시아의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끊임없는 침입을 받으며 정치적으로 불안하였다. 종교는 밀교가 융성하고 불교와 자이나교가 크게 위축되었다. 불교사원 날란다와 비크라 마쉴라는 세계적인 교육중심지였다. 그러나 이 시대의 교육은 종교, 철학, 문법학 등만을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고대에 발달한 과학의 수준을 계승하지 못하였으며, 새로운 학문도 발달하지 못했다. 9~12세기까지의 남부 인도에는 촐라라는 강력한 세력이 형성되었다. 촐라는 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