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고대시대의 변화 마우리아 왕조 이후 몇 세기 동안 외래민족이 끊임없이 유입되었고, 많은 부족들이 카스트 체제에 흡수되었다. 또 굽타시대 말기부터는 교역이 쇠퇴하면서 도시에 거주하는 상인과 수공업자들이 몰락하고 대거 농촌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새로운 카스트와 혼합 카스트가 많이 생겼다. 또 바이샤는 자신들에게만 주어진 과중한 조세납부의무를 거부하고, 수드라는 용역을 거부하는 등 반발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바르나를 기준으로 하는 전통적인 계급질서가 크게 흔들렸다. 이에 군주들이 사회안정의 차원에서 브라만이나 불교 승가에 토지를 하사하여 봉건영주에 의한 새로운 사회질서가 형성되어 갔다. 토지 하사로 농경지 확장과 브라만 문화의 전파가 함께 이루어졌다. 일단 농경지가 확충되면 농민들은 그곳에서 ..
마우리아 시대의 사회와 문화 마우리아 왕조는 기원전 322년경에 찬드라 굽타 마우리아가 제상 카우 틸리아의 도움을 받아 난다 왕조를 전복시키고 창건하였다. 그는 아프가니스탄 동쪽에서 시작하여 데칸 이남과 동부의 칼링가지역의 일부를 제외한 인도아대륙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의 뒤를 이어 빈두사라, 아소카가 계승하였다. 아소카는 왕위에 오르자 칼링가 왕국을 무력으로 병합시켰다. 이 전쟁으로 인해 10만명이 죽고, 15만 명이 포로로 붙잡혔다. 병합 후 아소카는 무력전쟁에 의한 정복정책을 포기하고 다르마에 의한 문화 정복 정책을 취했다. 그는 브라만교의 제사행위를 금지하였다. 그는 최초로 형성된 통일제국의 사회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전체 백성들을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는 일종의 국민정신으..
제목 : 마농의 샘 감독 : 끌로드 베리 출연 : 다니엘 오떼유, 이브 몽땅, 엠마뉴엘 베아르 이 영화의 수상내역을 보면 화려합니다. 1986년에 프랑스의 내셔널 시네마 아카데미상 그랑프리에 이어 비평가협회에서 최우수 영화상을 수상하고, 세자르상 8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된 데에 이어서 다니엘 오떼유의 최우수 남우상 수상까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작품입니다. 영화는 원작이 있는데, 프랑스의 희곡 작가 마르셀 파뇰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쓰였습니다. 감독인 클로드베리는 파뇰의 미망인인 자클린느로부터 영화 판권을 얻은 뒤에 원작 특유의 프로방스 지방 분위기를 살리려고 노력합니다. 원작의 분위기와 대사도 그대로 살려서 작품성을 훼손하지 않으려 했고, 배우들도 프로방스의 사투리를 능숙하게 쓰도록 연습시켰습니다. 작..
1. 아리아인의 인도정착 기원전 1500년경부터 아리아인이 인도에 들어왔다. 이란을 거쳐 들어온 아리아인들은 인더스강 주변에 일시 정착했다. 유목민인 그들의 주산업은 목축이었고, 말과 마차를 이용해 이동생활을 하면서 청동제 무기로 토착민들을 정복하였다. 그들은 토착민들과 전쟁을 하고, 또 동화하면서 새로운 인도민족을 형성하였다. 우리는 그들이 남긴 리그 베다를 통해 당시 그들의 사회를 조명해 볼 수 있다. 리그베다는 인드라, 아그니, 바루나 등의 자연현상을 인 격화한 신들을 찬미한 노래 모음이다. 리그베다에 의하면 당시는 부족장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부족회의가 열렸던 부족사회였다. 이 시대에는 소가 가장 중요한 재산이었다. 동쪽으로 이동하던 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000년경부터 기원전 600년경 사..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전쟁 시리즈 10 회편으로 보스니아 전쟁과 인종청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르비아계 민병대의 학살과 약탈 유고연방군의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포격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자, 다시금 목표를 바꿔서 크로아티아 내 유고연방군기지를 크로아티아군이 포위한 것을 풀 것을 요구하면서 부코바르를 총공격합니다. 부코바르에는 압도적인 유고연방군의 공격이 있었기 때문에 투지만은 주민의 희생을 피하려면 주민을 대피시켰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 대통령인 프라뇨 투지만은 매우 강경했고 주민을 대피시키지 않았습니다. 그는 오히려 주민의 희생을 여론전으로 이용할 생각을 하고 있었지요. 때문에 세르비아계 민병대를 중심으로 민간인에 대한 학살과 약탈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세르비아 민병대의 잔혹한..
16세기 초 이란에는 시아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사파비 왕조가 세워져 페르시아어를 바탕으로 이란의 전통문화 회복에 기여하였다. 사파비 왕조는 아바스 왕 때 전성기를 맞아, 오스만 제국의 여러 제도를 도입하여 국가체제가 정비되고, 문화와 경제분야에서도 수준 높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당시 수도 이스파한은 훌륭한 건축물과 우아한 장식물로 아름답게 꾸며져 오늘날까지 그 모습이 남아 있다. 사파비 왕조가 주변 민족들의 침입으로 약화된 후, 이란 지방은 18세기 말 카자르 왕조에 의해 재통 일되었다. 1. 카자르 왕조의 근대화 카자르 왕조는 한때 아프가니스탄까지 그 영역을 넓혀 번영하였으나, 19세기 말부터는 열강의 간섭과 침략이 가속화되었다. 따라서 이란의 근대화 과정도 유럽 열강에 대항하는 항쟁의 형태로 나..